본문 바로가기

힐링강좌

감사하는 마음

728x90

5. 병의 특효약은 감사하는 마음

 

 

마음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계속 하고 있습니다.

우선 병을 죽일놈 처럼 무겁게가 아니라 오랜 친구처럼 편안하게 바라보시라고 말씀 드렸지요?

이번에는 병이나 장애를 인생에서 감사의 기회로 삼아버리는 사람들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역경을 극복했는지 과정을 한번 들여다 보도록 하지요. 

 

이십대의 화려한 시절에 전신화상으로 고통받고 있는 자신의 경험을

외려 몸의 귀함을 알게 된 경험으로 만든 여자분이 있습니다.

 

이지선씨를 아시나요? 

교통사고 화재로 인해 온 몸이 삼도 화상을 입어

아리땁던 이십대의 시절을 온통 불속의 고통에서보낸  아가씨 입니다.

 

화상때문에 아름답던 얼굴이 다 망가지고 손가락은 다 불에타 오그라 붙고

온 몸은 피부가 녹아 엉겨붙은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여러분은 살고 싶겠습니까?

저 같아도 자살을 생각할 겁니다. 

 

 

 

사진의 두 분은 같은 사람입니다.

왼쪽 사진이 사고 전의 모습 오른쪽이  사고후의 모습입니다. 

 

그런데 외려 이 분은 다치고 나서야 비로소

삶을 의미있게 바라보기 시작했다고 자신의 책에다 적고 있습니다. 

 

의심스러웠습니다.

분명 죽고 싶도록 힘들었을텐데 삶이 감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요?

책을 읽어보았지요. 

읽고 나서야 이분의 글이 진심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폐손상으로 숨을 쉬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서야 비로소

숨을 편안하게 쉴 수 있다는 것의 고마움을 알게 되었다는 말,

화상으로 손가락이 없어져 보니까 손이 있다는 것의 감사함을 알게 되었다는 말,

없어보고 불편해 보니 당연한 것으로 고마움을 알고 있지 못하던 것들에게 대해

하나하나 감사한 마음이 들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다친 후에야 비로서 인생을 새롭게 돌아보게 되었다고 하네요.

그렇게 해서 살아있다는 것이 감사하다는 것을 결국에는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참으로 섬세하고 깊이 있게 자신을 돌아보는 사람이었어요. 

   

젊은 여자임에도 참으로 대단하지 않습니까?

건강은 이 쯤되면 몸의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여러분 건강에 대한 관점을 우리 바꾸어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완벽한 건강이란 없습니다.

죽을 병이 아니면 가볍게 생각해 봅시다.

이 병으로 내가 무엇이 바뀌었는지 무엇을 배웠는지 생각해 봅시다.

그렇게 생각하면 마음이 가벼워집니다. 잘 안된다고요?

 

 

여기 두번째 예를 말씀드리지요.

닉 부이지치 라는 호주사람이 있습니다. 유명하지요.

태어날 때부터 팔다리가 없습니다. 아니 팔이 하나 있긴 하지만

어깨에 바로 손가락이 달려 있는 모양새입니다. 

태어날 때 부터 이분은 완벽한 장애자입니다. 

단순히 장애자라면 도대체 무엇으로 유명해 졌을까요? 

 

 

닉은 자신이 어릴 적 정한 대로 행복을 전하는 대중강사가 되었습니다.

자신의 한계를 그어 놓고 포기하는 삶이 아니라

자신의 신체적인 한계를 넘어서는 모습을 통해

조건을 넘어서 만들어가는 행복을 전해주는 강사이지요.

그의 강의는 아주 감동적입니다. 논리가 아니라 감성을 자극하여

사람들을 눈물짓게 하지요. 

 

 

https://www.youtube.com/watch?v=BHar_GiGTZw 

화면의 이야기를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일부러 넘어진 상태에서 아주 힘겹게 일어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넘어진 상태에서 먼저 묻습니다.

"넘어진 상태로 그대로 머물 것인가요?"

"저는 넘어지면 일어나기 위해 다시 또 시도할 겁니다."

"포기한다면 끝나는 겁니다. 그러나 다시 시도한다면 일어서게 될거에요. "

 그리고는 팔다리의 도움이 없이도 거뜬하게 일어서는 모습을 보여주죠........ 

감동의 박수가 쏱아집니다. 

이것은 의지 곧 마음의 힘이 몸의 한계를 넘어 서는 모습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일 뿐입니다. 

 

몸의 건강이 과연 마음의 건강보다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마음의 건강이 더욱 소중하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주가 가장 좋아하는 말이 있습니다.  

이지선씨가 몸으로 체득하고 닉 부이지치가 살면서 깨달은 말이지요.

그것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믿음 신뢰 사랑 고마움 행복................................ 아닙니다.

그것은 감사입니다.

감사는 엔돌핀보다 수천배 강력한 항암제입니다.

 

 

모든 경험많은 의사들이 하는 말처럼

병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마음의 치료라는 점을 명심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볍게 생각하시고 즐거운 마음으로 늘 감사하십시오.

그러면 마음 속에 행복이, 그 행복이 결국에는  건강의 선물을 여러분에게 드리게 될 것입니다.

 

 

 

 



출처: https://selfhealing.tistory.com/7?category=437597 [자가치유명상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