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1
농사짓기
2020. 4. 22.
수정하면서 첨삭합니다.
통계를 보니 제 블로그에 오시는 분들의 상당수가 농업경영체 등록에 대해 궁금한 분들입니다.
그래서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물어보시면 답해 드릴게요.
질문을 달아 주시면 되고요.
아는 만큼 알려드릴게요.
세상에 모든 일이 다 지나고 나면 별 일이 아니지만
진행와중에 있는 일은 다 헷갈리고 어렵게 마련이니
아는 만큼 설명 드리겠습니다.
농업 경영체 등록하기
자 농업경영체 등록을 하면 이제 기초적인 농업인으로써 서류작업은 마무리 됩니다.
우선 농업 경영체 등록이 뭐하는 거냐?
1000제곱미터=300평
▶농업경영체
농업경영체란 맞춤형농정 추진과 농림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농업인 등이 농업경영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제도인데요. 농업인의 주민등록제도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농가 규모, 유형별 맞춤형 농정 추진과 정부 정책을 지원받을 때 필요한 것입니다.
신청자격
신규등록
- 휴 폐경을 제외한 경작면적이 1000 m2 이상인 농지.
- 330 m2 이상 고정식 온실, 버섯재배사, 비닐하우스 시설 경작 농지.
- 330 m2 이상 농지에 기준 사육규모 이상 사육하는 가축,
- 기준 사육규모 이상 사육하는 곤충
소 돼지는 축협을 방문, 먼저 이력제 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곤충은 시 군청을 방문하여 먼저 신고확인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본인 소유의 농지 뿐만아니라 임차 경작 농지도 등록 합니다.
이 경우 임대차 계약서를 제출 토지정보 임대차기간 임대 임차인 인적정보와 서명 또는 날인이 필수 기재사항입니다.
신청방법
- 각 주소지 관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신청서류
- 농지원부 등본
- 경영체등록신청서
- 경작확인서(마을이장서명확인)
- 임대일경우 임대차계약서
- 농자재구입영수증
결국 농지원부와 농업경영체 등록은
정부에서 주는 혜택을 받기 위한 농업인의 기본적인 등록이다. 이렇게 보면 되겠습니다.
그 혜택도 둘 다 등록해야 받습니다......
구체적으로 혜택이 뭐길레요?
▶ 혜택
- 등재 후 2년 경과시 농지 취득시 취,등록세 50% 감면 및 채권면제
- 등재 후 8년 경과시 양도세 감면, 종토세 면제
- 농업용 농기계 면세유 구입가능
-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50% 감면
- 대학생 자녀 장학금 우선 지원
- 농협조합원 가입시 농협에서 다양한 지원
- 농기계 비닐하우스 시설 구입 지원
- 각종 보조금 지원
-농사직불금
잘 보시면
제가 왜 별로 혜택이 없을 수도 있다고 했는지 말할 수 있어요.
결혼도 안하고 애도 없는 저는
앞으로 농사를 더 지을 생각이 없는 저는
비닐 하우스 지을 생각이 없는 저는
조합 가입시 큰 돈 이 없어 조합비 낼 생각이 없는 저는
혜택이 별로 없을 수 있어요.
직불금????
이건 뭐지?
올해는 경우 5월에 신청하면 년말에 120만원까지 준다고?
(직불금에 대해서는 별도로 자세히 알아봅니다. )
의료보험 지원 정도?????
어찌하든둥 해야 하는 일이니깐요.
신청하지요.
농업 경영체 등록은 각 주소지 관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가능합니다.
1. 직접간다.
2. 온라인으로 신청한다.
서류 다 챙겨서 직접 가시어도 되고
온라인으로 신청해도 됩니다.
(다 해보고 나서 결론은
결국 직접 가셔야 합니다.
적어도 고흥은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전화해 보고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두번 작성하는 귀찮은 일을 면하셔야지요. )
저는 온라인 신청했습니다.
신청처리기간이 3주일이나
실제로는 일주일이면 된다는 말이 들립니다?
서류를 넣으면 담당자가 와서 실제 경작유무를 확인하고서 통과시켜줍니다.
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필요하면 클릭해서 자세히 보세요.
경작사실 확인서
농업관련 물품구매 영수증
영수증은 실제로 영농인인지 관련 물품을 사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려 보는 겁니다.
그러니 농사관련 아무꺼나 사면되요.
그 영수증~!
농지원부 등본은 지난번에 보셨으니 패스^^
신청서는 온라인에서 자 갑시다.
지역 농산물 품질 관리원 온라인 서비스로
https://uni.agrix.go.kr/docs2/potal/main.html
농업경영체등록온라인서비스
민원인 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uni.agrix.go.kr
클릭하시면
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아래쪽 마우스 모양 있는 곳에 저는 신규니까 클릭
로그인 하시고
인증화면은 전화 혹은 카드 인증이오니
하라는 대로 입력하시고
클릭 클릭 하시면서 따라가시면
개인인지 단체인지 확인 클릭 후에
마지막으로
본인 확인 주민번호와 이름이 확인차 나옵니다.
역시 클릭 하고 들어가면
(인증 절차가 어른들이 하시기에는 조금 어려워요. )
그럴경우에는 역시
직접 찾아가는 것이 ...쩝~!!!
여기에서 왼쪽 의 처음 등록 부분에서 신규신청을 클릭하시면 됨.
어쨋든 일단 인증하고 들어가시면 위처럼 신청화면이 나옵니다.
신청 내용은 잘 읽어보시고 써야 합니다.
잘 모르겠다.
그러면 작성해 보시고 모르는 내용은 전화로 문의해 보세요.
요즘 공무원 분들 친절합니다.
자세히 안내해 주실거에요.
그래도 미리 오신 분들을 위해서 알려드릴수 있는 만큼 알려 드립니다.
온라인에 보니까 신청서를 잘 설명한 내용이 있습니다.
신청서 작성양식을 설명하는 파워포인트가 있어서 올립니다.
사진을 마우스로 클릭해서
사진크기를 늘린다음 자세히 보세요.
입력하는 화면이 총 4개 입니다.
잘 보시고 어떻게 입력하는지 따라하시면 되세요.
한 장면씩 입력하고
화면 오른쪽 상단의 저장 버튼을 누르면
저장 확인 후 다음 페이지가 나옵니다.
천천히 조심해서 하시면 되고요,
만약 에러가 나서 화면이 멈추는 경우라도
자동으로 저장되어 있으니
새로 위의 인증과정을 진행하고 나면
입력을 하신게 있다면
기존에 저장된 화면을 볼 수 있고
그걸 클릭해서 전체 수정하거나 재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자~!
이렇게 농지원부를 등록하고 농업 경영체를 신청합니다.
신청하고 좀 기둘린 후,
신청완료 연락이 올겁니다.
삼주일이 걸린다고ㅠㅜ
(실제로는 일주일 전후~^^)
순차적으로 농업인 되기는 종료....
서류에 문제가 있거나 문의할 일이 있으면 전화오니까 걱정안하셔도 되요.
앗~!!!!! 중요한 정보
의료보험을 할인하는 건 직접 의료보험공단에 연락하고
농업 경영체 등록 확인 서류를 발급해 가지고 가야 합니다. ~!!!!!
(알아보니 이건 안가도 됩니다.
서류를 가져오라는 사람이 있으면 없어도 된다고 하던데요 하면서 밀어 붙이세여.
저한테도 직접 오라는 사람이 있어서
서류는 안가져 가도 진행된다고 하더라 꼭 그러세요.
공무원 마다 말이 다르지만 안가도 됩니다. )
힝~
내용중에 직불금이 먼지 모르겠지용~
따로 공부해서 잘 챙겨드릴게요~
(소농 직불금을 120만원 줍니다.
그러나 그건 지난 3년간 농사를 지었을 경우이고
농사를 짓는 첫해라면
면적에 따라 받게 됩니다. )
(직불금은 매년 5-6월에 해당
동면읍사무소에서 신청받으니 가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시골이면 이장님이 마을 단위로 처리하려고 합니다.
여기 무슨 마을인데유~ 방송을 잘 들으시고
동네 이장님에게 문의하세요.)
이제 진짜 일이 남았습니다.
뭐긴요....
농사지어야지요..........ㅠㅜ
아유 바쁘다.
mindculture.tistory.com/6?category=924566
농지원부와 농업 경영체 등록 상세과정-3 주의할 점.
댓글 0 농사짓기 2020. 4. 26. 제 블로그를 보신 분들은 아시다시피 농지 원부를 만들고 나서 농업 경영체 등록 신청을 마쳤습니다. 위의 사진이 제 농지 원부이고 농지 원부의 내용은 땅이 어디고 �
mindculture.tistory.com
'농사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족한 나무사러 온라인 나무시장에 (0) | 2020.09.06 |
---|---|
과수원 땅에 심을 나무사러가다. (0) | 2020.09.06 |
농지원부와 농업 경영체 등록 상세과정-3 주의할 점. (0) | 2020.09.06 |
농지원부와 농업 경영체 등록 상세과정 1 (0) | 2020.09.06 |
젤 먼저 땅, 땅, 땅..... (0) | 2020.09.06 |